TOP
뒤로 가기 전체메뉴
닫기

잡아바 통합사이트 바로가기

[파주시]2023년 하반기 파주시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종료
[파주시]2023년 하반기 파주시 청년 월세 지원 사업
접수기간 2023-06-01 09:00~2023-06-30 18:00
파주시 경기도 파주시에서 준비한 정책과 제도입니다.

첨부파일 목록

지원기간 2023-06-01 09:00 부터
2023-06-30 18:00 까지
지원대상 파주시 거주 만 19세 ~ 39세 이하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가구 * 청년+배우자+자녀 등(「민법」상 가족으로 동일 주소지 구성)

지원내용

1. 사업개요
가. 사 업 명 :「2023년 파주시 청년 월세 지원사업」
나. 지원기간 : 2023. 7. ~ 2024. 6.(12개월)
다. 신청기간 : 2023. 6. 1.(목) ~ 6. 30.(금)
라. 지원인원 : 60명*월세 금액에 따라 변동 가능
마. 지원대상 : 파주시 거주 만 19세 ~ 39세 이하 부모와 별도 거주하는 무주택 청년가구 * 청년 + 배우자 + 자녀 등(「민법」상 가족으로 동일 주소지 구성)
바. 지원내용
- 월 10만원 지원*(1가구당 연 최대 120만원 / 분기별 30만원 사후 지급)
- 4회 분할 지급(예정): 23. 10월 중 / 23. 12월 중/ 24. 4월 중/ 24. 7월 중
*월세가 10만원 미만인 경우 실제 납부금액만 지원



2. 신청자격
가. 자격기준(아래 사항 모두 충족하여야 함)
① (연령기준) 공고일 기준 만 19세이상 39세이하(1983. 6. 2. ~ 2004. 6. 1.)
② (주소기준)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임대차계약 동일) 주소지가 파주시인 청년가구
③ (소득기준) 가구소득이 기준중위소득의 120% 이하(건강보험료 기준)
※ 신청인(가구구성원 포함)의 건강보험이 피부양자(건강보험 상 부모 등의 세대원으로 등록)인 경우 주민등록이 별도 분리되어 있어도 부양자 부과액 기준
※ 건강보험료 부과액 조회가 어려운 경우 별도의 소득 증빙자료를 요청할 수 있음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건강보험료 소득 판정 기준표>

 
(단위:원)
건강보험료
부과 가구원수
월 소득금액 건강보험료 부과액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2,494,000 88,753 26,673 -
2인 4,148,000 147,280 105,944 148,789
3인 5,322,000 189,109 147,855 191,845
4인 6,482,000 230,142 196,236 233,952
5인 7,597,000 272,226 249,281 278,492
6인 8,674,000 309,670 293,801 320,126
7인 9,730,000 346,067 335,569 359,887
8인 10,785,000 403,785 402,840 434,962
9인 11,840,000 434,962 436,179 476,875
10인 12,896,000 476,875 481,248 521,613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http://www.nhis.or.kr)에서 보험료 조회 가능, 문의 ☎ 1577-1000
☞‘민원요기요’ →‘개인민원’클릭 → 증명서 발급 및 확인 → 보험료 납부확인서
 
④ (주택기준) 임차보증금 1억원 이하, 월세 50만원 이하
- 전·월세환산율을 반영하여 월세 70만원이하까지 지원
▶산식 : (보증금x전월세전환율÷12개월)+월세 ≦ 70만원
▶산출예시 : (1천만원 x 5.5% ÷ 12개월) + 65만원 = 695,830원 ⇒ 지원가능
- 신청일 기준 파주시 내 주택*(용도)에 본인 명의 임대차계약 체결되어 있어야 함.
- 직계 존‧비속(형제‧자매 포함)간 임대차 제외
- 월세는 임차인 명의계좌에서 임대인 명의계좌로 납부해야함
- 임대차계약서성 공동임차인의 경우 1인당 분담액으로 임차보증금 월세액을 인정함, 단, 임대차계약서 1건당 1명만 신청 가능함.
※ 임대차계약서상 별도의 분담액 표기가 없는 경우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

나. 제외대상
❍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자(생계, 의료, 주거급여 대상자)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중 교육급여 대상자는 신청 가능
❍ 일반재산 총액 2억5천4백만원을 초과하는 사람
- (포함항목) 토지과세표준액, 건축물과세표준액, 임차보증금, 차량시가표준액
※ 임차보증금 중 공공이 아닌 일반 금융기관 임차보증금 대출금액은 차감
(위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금융거래증명서를 제출한 경우)
❍ 차량시가표준액 3,496만원을 초과한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
국가 및 지자체 월세 지원 사업 수혜자(중복지원 불가)
- 예시) 국토부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파주시) 청년취업자 월세지원,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등
정부 및 지자체 주거사업 지원 참여자

 
①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른 행복주택, 전세임대주택, 사회주택, 청년매입임대주택, 공공임대, 역세권 청년주택, 희망하우징 등 사업
② 공공 전월세자금 금융지원 사업에 따른 디딤돌대출,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주거안정 월세대출,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청년 임차보증금 융자(또는 이자)지원, 역세권 청년주택 보증금지원,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등
※ ‘사업’ 공고일 이전 공공주거사업 참여를 종료 또는 중지한 경우 신청 가능

❍ ‘가족관계증명서’에 등재된 신청인의 직계 존·비속(부모, 형제자매 등)의 주택을 임차한 경우
❍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신청인이 아닌 경우
❍ 기타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3. 신청 및 선정
가. 신청기간: 2023. 6. 1.(목) ~ 6. 30.(금) 18시까지
나. 신청방법: 온라인(어플라이 잡아바, apply.jobba.net) *회원가입 및 본인인증 절차 필요
다. 선정방법: 심사기준표에 의한 정량평가(소득 60점, 임차보증금 40점)

                                                                                               <심사기준표>
지 표 배 점 선 발 기 준
합 계 100 10 20 30 40 50 60
소득기준 60 120%이하 100%이하 90%이하 80%이하 70%이하 60%이하
임차보증금
기준*
40 10 20 30 40
1억5천만원 이하 1억2천만원 이하 8천만원 이하 5천만원 이하
* 임차보증금 = 보증금 + (월 임차임x100)으로 계산
라. 최종선정: 60명 내외(*인원은 예산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심사결과에 따라 고득점 순으로 선정
- 지원인원 초과시 후순위 동점자는 무작위 추첨으로 선정
- 결과발표: 2023. 7. 17.(월) / 개별 통보(합격자 문자 발송)

마. 지원절차

 
지원신청 자격 심사 대상자 선정 지원금 신청 지원금 지급
온라인 신청
(일자리지원사업 통합접수시스템)
자격요건 심사
(소득,중복참여 등)
대상자 선정
및 통보
월세 先 납부 후
신청서 및
증빙서류 제출
(분기별 신청)
서류 확인 후
개별 지급
(분기별 지급)
 
4. 제출서류
▶ 모든 서류는 공고일 이후 발급분
▶ 모든 서류 제출시 PDF 파일로 제출

 
구분 신청서류 발급처
신청서 공고문[서식1]
신청자 서약서 공고문[서식2]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및 고유식별정보처리 동의서(가구구성원 모두)
* 건강보험 상 피부양자일 경우 건강보험 부양자의 자필서명 포함 제출
공고문[서식3]
주민등록등본 행정복지센터,
정부24
가족관계증명서(상세, 발급용)
- 미혼: 본인, 부·모 가족관계증명서
- 기혼: 본인, 부·모 가족관계증명서, 배우자, 배우자의 부·모 가족관계증명서
- 가구구성원 모두 주민등록번호 전부 공개
- 건강보험 상 피부양자일 경우 부양자의 주민등록번호 전부 공개
행정복지센터,
대법원전자가족관계
등록시스템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가구 구성원 모두)
*전국단위, 재산세, 취득세, 자동차세 2022~2023년 기준 발급
* 과세내역이 없는 경우, 미과세 증명서 제출
행정복지센터,
(오프라인 발급분)
위택스
(www.wetax.go.kr)
주택임대차계약서* 사본, 통장사본**
*확정일자 또는 공인중개사 날인본 불가시 부동산등기부등본 제출
**통장 맨 앞장 제출, 적금․펀드․휴면․압류방지 계좌 불가
 
본인신용정보조회서(가구 구성원 모두)
* 대출현황이 없는 경우, ‘해당내역 없음’ 으로 발급
신용정보원(크레딧포유)
www.credit4u.or.kr
건강보험납부확인서(2023)
- 가구 구성원 모두 발급
- 건강보험 상 피부양자일 경우 부양자 발급
건강보험공단
www.nhis.or.kr

▶ ① : 온라인 작성 (일자리지원사업 통합접수시스템)
▶ ② ~ ⑨ : PDF 파일 첨부
 
5. 유의사항
❍ 제출서류에 해당되는 사항은 빠짐없이 기재하여야 하며, 접수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 기재사항 착오 및 누락, 허위 기재, 연락불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이익은 신청자의 책임으로 합니다.
❍ 지원대상자로 선정된 후에도 신청내용이 자격요건에 적합하지 아니하거나, 허위․부정한 방법으로 신청한 사실이 확인되면 선정 취소 및 지원중단, 환수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중단 및 환수사유(중단사유 발생일 이후 익월부터 지급 종료)
▪임차물건지 외 주소나 파주시 외 타 시군으로 전출하는 경우
▪임대차계약서 변경 및 주택구매 등으로 지원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연속 2회 이상 월세 미납 또는 납부 증빙자료를 미제출한 경우
▪정부 등에서 시행하는 주거(금융)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경우
❍ 허위‧부정한 방법으로 신청하여 선정 취소되는 경우 향후 사업 참여가 불가능합니다.
❍ 본 공고사항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되는 사항은 공고합니다.


6. 기타문의
❍ 파주시 청년정책과 청년지원팀(☎ 031-940-8666~8667)

참고자료

기관위치/연락처

  • 기관명파주시청

  • 부서명파주시 청년정책과

  • 담당자 연락처031-940-8662

  • 담당자 이메일joy0329@korea.kr

본 정보는 주관기관이 제공한 내용을 토대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해당정보는 제공기관의 사정, 기간변경등 다양한 원인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현행화의 시간차이등으로 100%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반드시 해당기관의 홈페이지 또는 문의처를 통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에 따라 본 게시물 상의 연락처는 내용상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문의 외에 사전동의 없이 전자메일 등으로 광고성 정보를 전송 및 연락하는 행위를 하면 안됩니다.​​